[DB] SQL 종류별 비교및 장단점

Posted by lim.Chuck on October 16, 2024

[DB]

  1. [DB] SQL 종류별 비교및 장단점
  2. [DB] SQL vs NoSQL: 게임으로 이해하기!

혼자 끄적거리다보니 DB가 필요했고 어떤 SQL이 편한지 고민하게 되어서 정리해 두기로했다.

1. MySQL

MySQL은 가장 인기 있는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중 하나입니다. 주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많이 사용되며, 성능이 뛰어나고 설치 및 관리가 비교적 간단합니다.

  • 설치 방법:
    1. MySQL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MySQL Community Server를 다운로드.
    2. 설치 마법사를 따라 설치.
    3. MySQL Workbench를 설치하여 GUI 환경에서 MySQL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주요 특징:
    • 오픈 소스.
    • 광범위한 커뮤니티 지원.
    •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사용 가능 (Windows, macOS, Linux).
  • 장점:
    • 오픈 소스이므로 무료로 사용 가능.
    • 설치 및 사용이 비교적 쉬워 초보자에게 적합.
    • 대규모 커뮤니티가 있어서 다양한 자료와 지원을 받을 수 있음.
    • 성능이 우수하며 다양한 플랫폼(Windows, macOS, Linux)에서 동작.
    • 웹 애플리케이션(특히 PHP 기반)과의 호환성이 뛰어남.
  • 단점:
    • 일부 고급 기능(예: 윈도우 함수, JSON 지원)이 부족할 수 있음.
    • ACID 특성을 완벽하게 보장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 복잡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데 PostgreSQL에 비해 다소 부족.

2. PostgreSQL

PostgreSQL은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강력한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처리할 수 있으며, ACID 준수와 고급 쿼리 기능으로 인해 신뢰성이 높습니다.

  • 설치 방법:
    1. PostgreSQL 공식 웹사이트에서 운영 체제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
    2. 설치 마법사를 따라 설치.
    3. pgAdmin을 설치하여 GUI 환경에서 PostgreSQL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주요 특징:
    • 고급 SQL 기능 지원.
    • JSON, XML과 같은 복잡한 데이터 유형 지원.
    • 트랜잭션 무결성과 성능이 뛰어남.
  • 장점:
    • 복잡한 데이터 구조와 고급 SQL 기능을 지원, 트랜잭션 무결성(ACID)이 뛰어남.
    • JSON, XML과 같은 비정형 데이터 타입을 다루는 데 강점.
    • 확장성 및 확장 기능(예: 사용자 정의 함수, 데이터 타입) 제공.
    • 오픈 소스이지만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성능과 신뢰성 제공.
    • 대규모 데이터 처리 및 복잡한 쿼리에 적합.
  • 단점:
    • 초기 설치 및 설정이 다소 복잡할 수 있음.
    • 학습 곡선이 MySQL보다 다소 가파름.
    • MySQL에 비해 커뮤니티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음.

3. Microsoft SQL Server

Microsoft SQL Server는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상용 RDBMS로, 주로 기업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SQL Server는 대규모 데이터 관리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버전으로 제공됩니다.

  • 설치 방법:
    1. Microsoft SQL Server 공식 웹사이트에서 SQL Server Express 버전을 다운로드.
    2. 설치 마법사를 따라 설치.
    3. SQL Server Management Studio(SSMS)를 설치하여 GUI 환경에서 SQL Server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주요 특징:
    • Microsoft 생태계와의 통합이 원활함.
    • 뛰어난 데이터 분석 및 관리 기능.
    • Windows 환경에서 최고의 성능 제공.
  • 장점:
    • Microsoft 생태계(예: Windows Server, .NET)와의 통합이 매우 원활.
    • 데이터 분석 및 보고 기능이 강력함(예: Power BI, SQL Server Analysis Services).
    • 뛰어난 성능과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제공.
    • SQL Server Express 버전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어 학습 및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
  • 단점:
    • 상용 버전은 비용이 높을 수 있음.
    • 주로 Windows 환경에서 최적화되어 있으며, 다른 운영체제에서의 사용은 제한적.
    • 오픈 소스가 아니므로 커스터마이징 및 확장성에 제한이 있음.

4. SQLite

SQLite는 서버 없이 작동하는 경량의 RDBMS로, 소형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앱에 주로 사용됩니다. 데이터베이스 파일은 단일 파일로 저장되며, 설치가 간편하고 설정이 거의 필요하지 않습니다.

  • 설치 방법:
    1. SQLite 공식 웹사이트에서 적합한 버전을 다운로드.
    2. 압축을 풀고 실행 파일을 사용하여 SQL을 실행.
  • 주요 특징:
    • 매우 가볍고 빠름.
    • 서버 없이 작동.
    • 복잡한 설정이 필요하지 않음.
  • 장점:
    • 서버가 필요 없는 경량 데이터베이스로 매우 가볍고 빠름.
    • 설정이 거의 필요하지 않아 간편하게 사용 가능.
    • 단일 파일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어 이동성과 배포가 용이함.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형 프로젝트에 매우 적합.
  • 단점:
    • 대규모 데이터나 복잡한 쿼리를 처리하는 데 부적합.
    • 트랜잭션 및 동시성 처리에서 제약이 있음.
    •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가 필요할 경우 적합하지 않음.

5. Oracle Database

Oracle Database는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상용 RDBMS로, 복잡한 데이터 구조 및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엔터프라이즈급 데이터 관리와 성능을 제공합니다.

  • 설치 방법:
    1. Oracle 공식 웹사이트에서 Oracle Database Express Edition을 다운로드.
    2. 설치 마법사를 따라 설치.
    3. SQL Developer를 사용하여 GUI 환경에서 Oracle Database를 관리.
  • 주요 특징:
    • 뛰어난 확장성과 보안.
    • 복잡한 트랜잭션 관리 지원.
    •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적합.
  • 장점:
    •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으로, 매우 뛰어난 성능과 확장성을 제공.
    • 복잡한 트랜잭션 및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최적화됨.
    • 높은 보안성 및 데이터 무결성을 제공.
    •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하며, 오라클 클라우드와의 통합이 용이.
  • 단점:
    • 설치 및 관리가 매우 복잡하며, 학습하기 어려울 수 있음.
    • 상용 버전은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음.
    • 오픈 소스가 아니기 때문에 커스터마이징 및 확장에 제한이 있음.

이와 같이 각 데이터베이스는 장단점이 있으며, 사용하려는 프로젝트의 규모와 요구 사항에 따라 적합한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 주요 특징 장점 단점
MySQL 오픈 소스 빠르고 사용하기 쉬움 대규모 커뮤니티 지원, 무료 일부 고급 기능 부족
PostgreSQL 오픈 소스 고급 SQL 기능 지원, 트랜잭션 무결성 우수 복잡한 데이터 구조 처리 가능, 확장성 좋음 설정이 다소 복잡할 수 있음
Microsoft SQL Server 상용/무료 버전 Microsoft 제품과의 통합 용이, 강력한 분석 기능 뛰어난 성능, SQL Server Express는 무료 상용 버전은 비용 발생
SQLite 오픈 소스 서버 없이 작동, 매우 가벼움 설정 필요 없음, 간편함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부적합
Oracle Database 상용/무료 버전 복잡한 데이터 구조와 대용량 처리에 최적화 고급 트랜잭션 관리, 확장성 및 성능 우수 설치 및 운영이 복잡, 비용 발생

MySQL은 역시나 대중적이고 사람들이 많이사용 하는거같고 쓸줄아니깐 오픈소스인 PostgreSQL 많이쓰는거 같으니깐 나도 이걸로 작업해봐야지